728x90

안녕하세요, Kimblock입니다.

그제 포스팅했던 페이코인의 빗썸 상대 거래지원 종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제출과 관련하여, 금일 페이코인의 운영사 페이프로토콜의 발표가 페이코인의 공식 텔레그램 채널에 게재되었습니다.(약 15시경)

그 내용은 페이코인 측(페이프로토콜)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출한 빗썸의 페이코인(PCI) 거래지원 종료 결정에 대한 효력을 정지 시켜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서 기각했다는 내용인데요,

이로 인해 페이코인은 닥사(DAXA)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서는 예정된 시간인 오늘(4월 14일) 15시경 거래지원이 종료되었으며, 코인원에서는 오늘 16시경 거래지원이 종료되었습니다.

출금은 5월 14일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자산을 옮겨두셔야 하는 분들께서는 페이코인 재단 측의 공지를 참조하시어 자산을 이동시켜두셔야 하며, 5월 14일 이후에도 출금이 되지 않은 페이코인 자산이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에 남아있을 경우 출금이 불가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페이코인의 소식이 안타깝기도 하면서 페이코인 재단 측과 닥사 측의 행동이 모두 아쉬움이 남는 이슈였던 것 같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 이로 인해 겪는 피해가 많지 않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안녕하세요, Kimblock입니다.

4월 8일, '페이코인(PCI)'을 발행하고 운영하는 '페이프로토콜'이 국내 2위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을 상대로 페이코인(PCI)의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효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출했다고 합니다.

페이코인(PCI) 측은 업비트와 코인원의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건에 대해서는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일자(5월 14일)까지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가처분을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가처분은 긴급한 사안과 관련하여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건의 소송에 앞서 법원에 결정을 구하는 절차인데요, 페이프로토콜이 신청한 가처분이 승인된다면 페이코인(PCI)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는 즉각 취소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민사 제 50부 재판부는 오늘(4월 12일) 오후 4시 50분경 페이프로토콜의 '페이코인(PCI)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의 심문을 진행하였고 아직 결과는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국내 원화 기반 디지털자산 거래소 협의체(닥사 / DAXA)는 지난 3월 31일에 "페이코인(PCI)에 대한 거래지원이 5월 14일 날짜로 종료된다."라고 발표했는데요, 이에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은 다음달인 5월 14일 오후 3시, 코인원은 5월 14일 오후 4시부터 페이코인(PCI)에 대한 거래지원을 종료(상장 폐지)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닥사(DAXA)가 밝힌 페이코인(PCI)의 대표적인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사유로 '국내 결제 사업 중단'을 들었었죠. "페이코인(PCI)을 이용할 수 있는 국내 결제 사업들이 무기한 중지된 것으로 확인된다."라고 언급하며, "페이코인(PCI) 재단이 닥사(DAXA)에 제출한 소명 자료를 검토했지만 급격한 사업적 변동과 해외 결제 사업의 성과 및 방향성 등을 검토하여 판단했을 때, 현시점을 기준하여 추가적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한다."고 페이코인(PCI)의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공지 내용에서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4월 8일, 페이코인(PCI) 운영사 페이프로토콜이 빗썸 거래소에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하면서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어 보입니다. 가처분 신청을 담당하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해당 가처분 신청을 승인하면 페이코인(PCI)은 빗썸에서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의 효력이 정지되어 계속 거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번 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방법원이 기각한다면 닥사의 페이코인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결정에 따라 페이코인은 5월 14일 부로 빗썸 거래소에서도 거래지원이 예정대로 종료됩니다.

페이프로토콜이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하지 못한 업비트와 코인원에서는 예정대로 5월 14일에 페이코인의 거래지원이 종료됩니다.

페이프로토콜이 빗썸에만 집중하기로 한 전략은 과연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정말 궁금합니다.

많은 암호화폐 유저들이 닥사의 무리한 결정이라고 비판하기도 한 이번 페이코인의 거래지원 종료(상장 폐지) 이슈에 대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과연 닥사의 결정은 진정 투자자들을 위한 결정이었나, 닥사는 과연 투자자들을 위해 존재하는 협의체인가, 투자자들을 위한 대책 마련이 과연 유의종목 지정이라는 카드 뿐인가, 라는 여러 생각이 드는데요,

여러분 생각은 어떠십니까?

728x90

안녕하세요, Kimblock입니다.








오늘(3월 31일) 국내 원화 기반 디지털자산거래소 협의체인 닥사(DAXA)들의 협의 끝에 결국 페이코인(PCI)의 거래 지원을 중지(상장 폐지)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16시경 각 거래소의 공지사항에 게시되었습니다.


거래지원 종료일시 : 4월 14일 15시
출금지원 종료일시 : 5월 15일 15시


바로 어제 빗썸이 아모코인(AMO)에 대한 유의지정을 해제한 바 있으나 페이코인은 결과가 달랐습니다.

페이코인의 투자자분들이 계시다면 발빠르게 대처하는 것만이 현재로써는 유일한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페이코인은 국내 닥사 중 업비트와 빗썸, 그리고 코인원에 상장되어있는데요, 세 개의 거래소가 동시에 페이코인의 상장 폐지 내용을 공지하였습니다.








닥사의 입장은 페이코인 재단이 투자유의 지정 기간 동안 닥사 측이 요구한 유의지정 사유에 대해 적합한 소명 절차를 진행하지 않았고, 페이코인이 진행하고 있던 국내 결제 사업이 무기한 중단되었으며, 해외 결제 사업의 성과가 미비하고 사업의 방향성 등이 지속적으로 변동되고 있는 바, 투자자들의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거래 지원을 종료하기로 했다는 것입니다.

사실 16시경 세 개 거래소의 거래 지원 종료 공지가 나오기 전부터 페이코인의 가격은 급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가, 공지 이후에는 하락폭이 더욱 커지면서 현시간 기준으로는 55% 하락한 150원 대에 거래되고 있네요.

이에 대해 페이코인 재단에서 발표한 입장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페이코인 팀입니다.

페이코인의 해외 사업 로드맵과 지갑 사업자로서의 서비스 제공 계획 등 소명에도 불구하고 DAXA는 최초 유의 지정 사유인 급격한 사업적 변동 및 해외 사업 불확실성의 사유로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했습니다. 이미 해외 결제사업 로드맵과 국내 결제사업 모델 변경 및 재 런칭 일정 등을 상세히 소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금번 거래지원 종료 결정은 백서대로 사업 진행을 하지 못하는 많은 거래지원 프로젝트들과 비교하여 심각히 형평성을 잃은 조치로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

글로벌 No.1 가상자산 결제 플랫폼을 천명했던 페이코인 사업은 결코 종료되지 않을 것이며, 이미 밝힌 바와 같이 3분기 내 해외 결제 사업 및 13개 메인넷 지원 지갑서비스 런칭과 은행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확인서 발급 및 가상자산 사업자 재 신고를 거쳐 4분기 내 국내 결제 사업도 재 오픈하는 일정을 차질 없이 준비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해외 대형 거래소 상장도 추진 중에 있어서 향후 해외 사업의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320만 페이코인 고객과 15만 가맹점을 페이코인은 끝까지 보호할 것이며, 글로벌 결제 플랫폼의 성공적인 런칭으로 페이코인의 결제플랫폼이 건재함을 보여드릴 것을 약속드리고, 가상자산 사업자 재 신고 및 이후 페이코인의 국내 거래소 거래지원 원복 등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페이코인 팀 드림.

▼ 페이코인 미디엄 입장문 원문 링크 ▼

[공지] 페이코인 거래지원 종료 결정에 대한 입장문

페이코인의 해외 사업 로드맵과 지갑 사업자로서의 서비스 제공 계획 등 소명에도 불구하고 DAXA는 최초 유의 지정 사유인 급격한 사업적 변동 및 해외 사업 불확실성의 사유로 페이코인의 거래

medium.com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개인적으로는 백서에 적힌대로 올곧게 프로젝트를 운영해나가는 프로젝트는 그리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의 운영 방향이나 불가항력에 의한 사업 내용 변동 등 백서에 적힌 로드맵대로 정확하게 이행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닐거고 그건 우리가 이미 잘 알고있는 대형 프로젝트들도 어려울 뿐더러 플랫폼이나 공식 홈페이지가 폐쇄되고 투자자들과의 소통 창구인 커뮤니티가 전혀 운영되지 않고있는 프로젝트도 너무 많습니다.

그러나 이번 닥사의 결정에 따라 페이코인은 국내 3개 거래소에서 거래지원이 종료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해외 대형 거래소에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페이코인 재단의 노력과 투자자들 및 결제 가맹점들을 보호할 것이라는 입장을 지켜준다면 페이코인의 국내 거래소 상장 원복과 페이코인이 추진하고 있는 국내외 결제사업이 자리잡을 수 있는 결실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페이코인 재단의 입장문을 보고 저는 닥사가 조금 더 기간을 연장해서 페이코인 재단의 소명을 제대로 들어봤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과연 상장 폐지가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수단일까? 아니면 투자자들에게 더 큰 피해를 안겨주는 방법일까? 저는 닥사에게 이런 질문을 해보고 싶네요.








페이코인은 Huobi와 OKX, BitUBU, BKEX 네 개의 해외 거래소에 상장되어있으니 닥사의 거래지원 종료에도 불구하고 페이코인을 보유하고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위 거래소들 중 선택하시어 페이코인을 보유하고 계시거나 개인지갑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홀딩하실 수 있겠네요.



이상으로 페이코인 이슈를 전달드렸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