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출처 : BTC.com

안녕하세요 Kimblock입니다.

어제 날짜(4월 7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의 채굴 난이도가 또 상승했는데요,

비트코인은 2016개 블록마다 해시레이트의 수준에 맞춰서 채굴 난이도를 자동 조정하죠.

이 채굴 난이도는 2월부터 시작해서 4번 연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비트코인 정보 제공 업체 BTC.com에서 확인되는 비트코인의 현재 채굴 난이도는 역대 최고치인 47.89T입니다.

이는 비트코인을 채굴함으로써 얻는 수익이 커지면서 채굴사업자 및 일반 채굴자들의 채굴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채굴 난이도와 해시레이트가 점점 증가하면서 채굴에 투입되는 비용이 더욱 늘어나지만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채굴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커졌기 때문에 채굴 난이도와 해시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일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3월 한달 동안 채굴로 인한 수익은 7억 달러가 넘는다고 하네요.

아직 턱없이 부족한 감이 없지 않지만 비트코인이 살아나고 있다는 것에 위안을 삼으면서

앞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활발해짐으로써 모두가 살만해지는 시장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면 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728x90

 

 

 

출처 : 베이직(BASIC) 공식 페이스북

금일(4월 7일) 17시에 업비트와 빗썸에 각각 베이직(BASIC)의 유의 종목 지정 기간을 일주일 연장한다는 내용의 공지가 게시되었는데요, 동일하게 내세운 유의 종목 지정 기간의 연장 사유는 '유의 종목 지정과 관련하여 프로젝트 측으로부터 소명을 받았고 이에 대한 검토를 진행중이고 보다 면밀하게 검토를 하기 위해 유의 종목 지정 기간을 연장한다.'입니다.

지난 3월 31일 페이코인이 유의 종목 지정을 해제하지 못하고 상장 폐지 결정을 내린 닥사(DAXA)가 이번에는 유의 기간을 연장한건데요, 이에 따라 차주 금요일(4월 14일)에는 닥사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이직(BASIC) 투자자분들께서는 보다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소식에 귀 기울이며 유의하여 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리셔야 할 것 같습니다.

업비트 공지 내용


안녕하세요. 가장 신뢰받는 글로벌 표준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입니다.

베이직(BASIC)의 유의 종목 지정 기간이 디지털 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회원사들에 의해 연장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DAXA 회원사들은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투자 유의/주의 촉구, 유의/주의종목 지정, 거래지원 종료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아래 자세한 유의종목 지정 기간 연장 사유를 안내드리니, 해당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신 회원님들께서는 아래 사항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의 종목 지정 기간 연장 안내]

BASIC (베이직 Basic)

  • 대상 마켓 : BASIC/BTC
  • 유의 종목 지정 기간 연장 사유 :
  • 업비트는 BASIC의 유의 종목 지정에 관하여 프로젝트 측으로부터 소명을 받고 이에 대한 검토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보다 면밀한 검토를 위해 유의 종목 지정 기간을 연장합니다.
  • 유의 종목 연장 기간 : ~ 2023-04-14 (금) 23:59:59(KST)

[유의 종목 지정 기간 연장 관련 안내사항]

  • 연장된 유의 종목 지정 기간 동안 업비트는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를 통해 유의 지정 연장, 해제 혹은 최종 거래 지원 종료 여부를 판단할 예정입니다.
  • 업비트의 디지털 자산 유의 종목 지정 및 거래 지원 종료는 거래지원 후 가상자산 관리 체계에 의거합니다.
  •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는 회원사가 거래지원하고 있는 가상자산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시장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투자자 주의가 필요한 위기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정보 제공 및 공동 대응을 통한 투자자 보호 조치를 지속적으로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회원님의 안전한 거래를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는 업비트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빗썸 공지 내용


안녕하세요.

No.1 가상자산 플랫폼, 빗썸입니다.

빗썸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거래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거래지원 중인 가상자산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감독을 시행해 오고 있습니다.

베이직(BASIC)은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회원사들에 의하여 투자유의종목 지정 연장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유의종목 지정 연장 종목 및 사유

ㆍ베이직(BASIC)

유의종목 지정에 관한 사실관계 등에 대하여 프로젝트 측으로부터 소명을 받고 이에 대한 검토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다 면밀한 검토를 위해 투자유의 지정을 연장합니다.

투자유의종목 지정 연장 일정

ㆍ지정 연장, 해제 / 거래지원 종료 공지 일정 : 2023년 4월 14일(금)

* 베이직(BASIC)의 시세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거래에 특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DAXA는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공동으로 투자 유의/주의 촉구, 유의/주의종목 지정, 거래지원 종료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가상자산에 투자하시는 경우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빗썸은 거래지원 중인 가상자산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감독 및 외부 전문가, 재단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건전하고 투명한 거래환경 조성에 앞장서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지난 3월 29일, 엠블(MVL)의 CIO인 제임스(James)가 바이빗(Bybit)과 함께 바이보트(Byvote) AMA 세션을 진행하였는데요, 이번 바이보트 AMA 세션은 바이빗 거래소의 바이보트 프로그램 참여와 연계하여 엠블의 전반적인 사업 소개, 토큰 이코노미, 추후 사업 방향 등에 대한 답변 시간을 가졌습니다.

해당 AMA는 바이빗의 공식 텔레그램 그룹에서 진행되었으며, 한글 요약 버전을 공유합니다.


Q1: 엠블에 대해서 소개해 주실 수 있을까요?

James:

MVL은 Web3 모빌리티 프로젝트입니다.

2018년부터 싱가포르와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TADA'라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버나 그랩같은 서비스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ONiON'이라는 전기 자동차 생산, 판매 및 충전 인프라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공적인 모빌리티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MVL 토큰 이코노미를 적용하고 Web3 서비스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MVL의 모빌리티 생태계에서는 약 20만명의 운전자와 200만 명 이상의 승객이 참여하며, 매일 수만 건의 이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MVL 팀은 전 세계적으로 한국, 싱가포르 및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270명 이상의 직원으로 구성된 견고한 기업이며, 누적 자본금 투자액은 3000만 달러를 도달했습니다.

MVL 토큰은 한국 최대 규모의 거래소인 업비트 및 MEXC 및 Poloniex와 같은 해외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글로벌 거래소인 바이비트 상장을 계획하여 동남아시아 모빌리티 참여자 수백만 명을 Web3 세계에 온보딩시킬 예정입니다.

Q2: MVL의 모빌리티 생태계의 현재 상황은 어떻게 되나요?

James:

MVL의 모빌리티 비즈니스는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됩니다:

  1. 택시와 배송 등의 라이드헤일링 서비스인 'TADA',
  2. 전기 자동차 생산 및 전기 인프라 개발을 담당하는 'ONiON',
  3. 이러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토큰 이코노미를 연결하는 MVL 블록체인

TADA는 약 2백만 명의 사용자가 있는 택시 호출, 라이드 헤일링, 배송 서비스로 매일 수만 건의 Trip이 발생됩니다. 특히 싱가포르에서는 인구의 약 1/4가 사용하는 인기 있는 서비스이며, 라이드 헤일링 사업을 위한 정부 허가를 받은 세 개의 기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현지 드라이버들로부터 그랩과 같은 플랫폼 기업과 비교하여 수수료가 적다는 것과 토큰 인센티브 제도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빠르게 성장하여 싱가포르에서는 2위, 캄보디아에서는 3위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ONiON Mobility는 전기 자동차 및 바이크를 생산하며, 판매, 수리 및 충전과 같은 모든 전기 자동차 관련 비즈니스를 수행합니다. 현재, MVL의 배터리 교환형 전기 3륜차인 ONiON T1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충전 및 커뮤니티 허브로서 기능하는 Mega Station과 Hub Station이 구축되어 있습니다.

또한 B1과 같은 전기 바이크도 올해 하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며,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로 수출될 예정입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TADA와 ONiON의 모빌리티 비즈니스는 MVL의 토큰 이코노미와 연결됩니다. MVL의 모빌리티 생태계에서는 우수한 운전자와 승객의 기여도가 측정되며, 그에 따라 인센티브가 부여됩니다. 예를 들어, 금요일 밤 드라이버 수요가 많을 때 더 많은 trip을 완료한 드라이버들에게 토큰 인센티브가 주어집니다. 이 전략에 따라 드라이버는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승객은 더 빠르게 승차할 수 있고, TADA 서비스의 수익도 증가합니다. MVL 토큰은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재사용됩니다. 특히, 실제 비즈니스의 성장과 MVL 토큰의 가치를 연결하는 새로운 토큰 이코노미가 올해 하반기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Q3: 암호화폐를 잘 모르는 운전자와 승객들도 웹3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James:

Web3 모빌리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1. 원활한 매칭이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어야 하며
  2. 사용자가 토큰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난 5년간의 노력 끝에

  1. MVL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은 원활히 진행되고 있으며,
  2. 편리한 토큰 접근 및 사용 부분도 현장 테스트를 완료하였습니다.

대부분의 택시 운전자와 일반 승객들은 암호화폐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특히, 블록체인을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할 때는 불편한 지갑 UX/UI, 네트워크 수수료, 개인 키 관리 등의 문제가 상당한 장애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MVL은 작년 Clutch라는 전용 지갑을 출시하였습니다. 소셜 로그인, 원클릭 보상 수령 및 개인 키 복구 기능을 적용하여, 모빌리티 사용자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췄습니다. 또한, MVL 토큰에 대한 토큰 이코노미 테스트를 지난 6개월간 캄보디아 TADA 서비스에서 실시하여 상당히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MVL은 현재 운전자와 승객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올해 5월에 크게 개선된 UI/UX를 가진 Clutch 개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후, MVL이 축적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토큰 이코노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지갑 개편 이후에는 MVL 토큰을 사용한 TADA 할인 및 관련 제품 판매 등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요금 할인등 MVL의 독특한 유틸리티는 TADA를 매일 이용하는 승객들이 MVL 토큰을 구매하도록 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Q4: MVL의 토큰 이코노미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려주세요.

James:

MVL은 총 유통량이 30억 토큰인 하드캡 프로젝트입니다.

MVL의 토큰 이코노미는 실제 모빌리티 비즈니스에서 발생한 수익금을 기반으로 한 바이백, 락업 기간, 토큰 홀더 및 드라이버에 대한 인센티브로 이루어집니다.

위 그림과 같이 실제 모빌리티 서비스를 기반으로 MVL 토큰 생태계로 외부 가치가 지속적으로 유입됩니다. 특히, MVL 토큰은 미래에 모빌리티 및 제품 구매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Treasury로 흐르는 가치의 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Treasury로 유입되는 MVL 토큰은 모빌리티 참가자 및 토큰 홀더에 대한 인센티브로 재분배되거나 일정 기간 동안 락업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면서 MVL 토큰은 모빌리티 생태계 내에서 순환하며 지속적으로 가치가 상승할 것입니다.

모빌리티 서비스와 토큰의 연결은 완료되었습니다. 따라서, 올해 하반기부터는 세계에 새로운 모빌리티 토큰 이코노미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보다 자세한 수치는 추후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MVL 토큰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사람들에게는 스테이킹 형태의 보상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현재 MVL Bridge(https://mvlbridge.io) 웹사이트에서 다양한 스테이킹 보상이 제공되고 있으니 참여해 보시기 바랍니다.

Q5: MVL 팀의 향후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James:

먼저, 우리는 TADA와 ONiON 모빌리티에서 MVL 토큰 유틸리티의 사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모빌리티 서비스의 혜택을 기반으로 MVL 토큰에 대한 구매를 만들어 낼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블록체인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와 승객들을 대상으로 클러치(Clutch) 지갑의 리뉴얼을 상반기에 완료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월렛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하반기에는 새로운 MVL 토큰 이코노미 시스템이 Treasury와 함께 출시될 예정입니다. 이 때, 모빌리티 비즈니스의 성장과 토큰 가치의 증대 사이에 구조적인 연결성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또한, 실제 모빌리티 비즈니스가 진행되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대상으로 MVL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TADA는 더 많은 국가로의 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인접 국가의 주요 도시에서 론칭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 여기에 계신 바이비트(Bybit)의 사용자분들도 곧 거주 지역에서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ONiON Mobility는 전기 바이크 생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차량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NFT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앞으로 차량과 블록체인을 결합한 새로운 모델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Q6: 바이보트 프로그램에서 엠블에게 투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른 프로젝트와의 차별점을 몇 가지 말해주세요.

James:

저희 MVL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독특한 위치에 있습니다. MVL은 실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실사업 기반 Web3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5년간 구축된 견고한 모빌리티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는 200만 명의 사용자와 매일 10만 건의 이용이 있는 TADA 서비스뿐만 아니라 ONiON 전기차 및 충전소도 포함됩니다. 만약 Web2의 우버(Uber)와 그랩(Grab)을 대체할 Web3 모빌리티 서비스가 출현한다면, 우리 MVL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을 것이라 자신합니다.

Q7: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성장에 대한 전망은 어떻게 되나요? 우버(Uber) 및 그랩(Grab)과 같은 현재의 라이드헤일링 회사를 추월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자율주행 시스템"은 무엇인지, 또 이것은 MVL의 사용 사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James:

저희 MVL은 Web3의 기본 철학이 기여한 만큼 생태계 참여자에게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MVL 생태계 구성원 중에서 더 많은 Trip을 생성하는 운전자는 성과에 따라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우버(Uber)와 그랩(Grab)과 같은 Web2 모빌리티 플랫폼은 시장 독점 후 운전자와 승객으로부터 과도한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싱가포르 시장에서 그들의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수수료가 더 저렴한 것에 더해 토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MVL의 TADA 서비스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의 경우, 기술적으로 운전자의 생존권을 박탈하는 측면이 있어 사회적으로 빠르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측면이 있을 것입니다. 저희 MVL팀은 자율주행 기술이 인기를 얻더라도 기존 운전자들과 공존하는 방법을 찾을 계획입니다.

Q8: 현재 시장에서 자리를 차지하려는 새로운 및 기존의 유틸리티 토큰(또는 유사한 프로젝트)이 많이 있습니다. MVL은 이러한 경쟁에 어떻게 대응하고 앞서나갈 수 있을까요?

James:

우선 확실한 것은, 현재 Web3 생태계에서 모빌리티 프로젝트로서 MVL의 경쟁자는 없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다수의 프로젝트가 Web3 모빌리티 시도를 선언하며 등장했지만 대부분 실패했습니다. 개인 차량에 OBD 또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고 다른 대형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는 것과 같은 전략을 제시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자체적으로 모빌리티 사업에서 성공한 것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MVL 팀은 지난 5년간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모빌리티 사업을 구축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그 결과, 느리지만 TADA와 ONiON과 같은 실제 비즈니스 영역에서 큰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실제 비즈니스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MVL 토큰을 대규모 자본이 매일 유입되는 모빌리티 분야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현재의 상황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몇 년 안에 유틸리티 토큰의 최고 사례로 MVL 프로젝트를 소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Q9: MVL은 MVL 토큰 가치를 높이기 위해 토큰을 소각하거나, 바이백 하거나, 토큰 락업 계획이 있나요?

James:

저희는 하반기에 토큰 바이백 및 토큰 락업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TADA는 동남아시아에서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 잡았으며, 매일 수만 건의 trip에서 많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약 1%의 사용자가 MVL 토큰을 결제에 사용한다면, 매년 수백만 달러에 해당하는 토큰이 보관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MVL로만 구매할 수 있는 TADA 할인 티켓 등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지 사용자 테스트를 완료하였고 하반기에는 전면적인 토큰 이코노미를 적용할 계획입니다.

Q10: 커뮤니티 형성은 프로젝트 성공에 큰 역할을 합니다. 엠블은 커뮤니티를 어떻게 형성할 계획인가요?

James:

MVL 생태계는 로컬 드라이버, 라이더 및 글로벌 토큰 투자자로 구성됩니다.

드라이버는 MVL 생태계에서 라이드 헤일링 및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며 토큰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거의 2억 명의 라이더가 여행지에서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이들은 앞으로 MVL 토큰을 사용하여 라이드 할인 쿠폰을 구매할 잠정적인 구매자가 될 것입니다.

토큰 투자자는 블록체인 인프라를 구축하여 드라이버와 라이더 간 토큰 교환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생태계에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동성 공급자로 참여하고 스테이킹 보상을 받는 방식입니다.

현지 드라이버, 라이더 및 글로벌 토큰 투자자는 MVL의 지갑 서비스에서 함께 상호작용합니다. 따라서 지갑 개선을 마치면, MVL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상당한 마케팅 강화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Q11: 싱가포르와 베트남에서 TADA를, 캄보디아에서 ONiON Mobility의 런칭 이후, MVL은 다른 국가로의 추가 확장 계획이 있나요?

James:

저희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들이 MVL 토큰으로 지불할 수 있는 모든 동남아시아의 큰 도시에서 TADA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TADA 팀은 새로운 국가 및 대도시 현지에서 출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소식은몇 달 내에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게다가, MVL팀은 TADA와 같은 모빌리티 서비스와 원활하게 연결되는 블록체인 지갑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올해 상반기에 완료할 예정입니다. 그 후에는, 현지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TADA보다 더욱 빠르고 유연하게 MVL이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홍보될 수 있습니다.

Q12: ONiON T1이 현재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국가는 몇 개나 되나요? 그리고 다른 모델들에 대해 간단히 언급해 주실 수 있나요?

James:

현재, 프놈펜 시내에서 약 500대의 차량과 13개의 어니언 스테이션이 운영 중이며,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시보드 화면에는 현재 운행 중인 차량과 배터리 상태가 표시되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대응하며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AS 서비스, 보증 및 유지보수, 운영 효율성 개선에 활용되며, 렌탈 운영 및 금융 상품 등 다양한 부가 제품에도 추가적으로 적용됩니다.

또한, 올해 출시 목표로 전기 바이크와 같은 새로운 제품들이 연구 및 개발 중이며, 배터리

스테이션 프랜차이즈 모델도 도입될 예정입니다.

Q13: MVL 토큰의 스테이킹이 가능한가요? 스테이킹은 어디에서 가능한지, 연간 수익률은 얼마나 되나요?

James:

MVL은 처음에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사용하다가 작년 BNB 체인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현지 모빌리티 서비스에서의 빈번한 결제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이에 더해 LP 스테이킹을 도입하여 원활한 온체인 거래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스테이킹 서비스는 사이트(https://mvlbridge.io)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앞으로는 지갑에서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 및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BNB 네트워크에서의 BNB bMVL LP 스테이킹 APR은 73% 수준이며, ETH-MVL LP 스테이킹 APR은 50%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Q14: MVL은 스마트 컨트랙트 버그로부터 안전한가요? 또한 감사보고서가 있나요?

James:

저희는 Certik, Hacken, Hexlant 및 HachiLabs 총 4개 회사로부터 감사를 받았습니다. 그 결과, 저희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한국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에 상장될 만큼 안전합니다.

또한, 주요 법률 사무소로부터 토큰 이코노미의 안정성과 STO 관련 문제에 대한 자문을 받았습니다.

싱가포르에서는 그랩(Grab)을 포함해 단 3개의 기업만이 정부의 모빌리티 라이센스를 획득했기 때문에, 저희는 프로젝트의 안정성을 철저히 검토한 후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안전성이 Total Energy와 같은 대형 기업이 저희와 함께하는 이유입니다.

Q15: MVL의 최신 뉴스를 모두 어디서 얻을 수 있나요? Twitter/Telegram/Discord 커뮤니티가 있나요? 커뮤니티 링크를 공유해 주실 수 있나요?

James:

중요한 뉴스는 빠르게 Twitter를 통해 받을 수 있으며, Telegram 채널은 주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사용됩니다. 또한 홈페이지의 뉴스 섹션에서 모든 뉴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16: MVL의 지갑인 Clutch는 다른 암호화폐 지갑에 비해 차별점이나, 독특한 점이 있나요?

James:

현재 대부분의 블록체인에서 지갑이 갖는 기능들이 현재 버전에 포함되어 있지만, TADA와 같은 웹2 서비스와의 연결성과 사용성에 대한 비판이 있습니다.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블록체인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운전자 및 승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보상이나 지불 등 MVL 토큰의 활용도를 빠르게 확대할 수 있는 지갑 내에서 MVL 토큰의 보상 및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TADA 서비스 내에서의 인센티브 및 결제도 가능하게 할 예정입니다.

장기적으로는 ONiON 차량 대시보드를 비롯하여 다양한 활동들, 최근 Tezos와의 협업 이벤트를 비롯한 3rd party와의 협력, 출시, 프로모션 등이 포함될 계획입니다.

Q17: MVL의 NFT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James:

우선적으로, 클러치 월렛 앱에 NFT를 도입하여 일반 사용자보다 더 높은 보상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멤버십 기능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는 올해 하반기에 계획되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차량과 연결된 NFT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을 준비하고 있으며, 여러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논의 중입니다. 이는 매우 새로운 유형의 모빌리티 제품이 될 것이며, 더 구체화되면 자세한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Q18: 모빌리티 서비스에 왜 Web3가 필요로 하나요?

James:

택시 기사들은 Grab과 같은 플랫폼 회사에 높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게다가, 하루에 수십 번 이상 운행을 하더라도 모든 부가가치는 플랫폼 회사들에게 독점되어 가치 창출이 불공평합니다.

MVL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는 노력하는 기사들이 보다 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사들의 기여도, 즉 수행한 운행 수 등을 측정하여 적절한 토큰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노력하는 기사들이 보다 큰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MVL 생태계는 더욱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수한 기사들에게 보상을 주는 것이 모빌리티 시장을 바꾸는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Web3 철학을 5년간 TADA 서비스에 적용하면서 싱가포르와 캄보디아 등의 국가에서 시장에서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Q19: MVL 토큰을 보유함으로써 생기는 장점은 무엇인가요?

James:

서비스 지역 내에서는 MVL 토큰을 할인 승차 및 기타 서비스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이는 MVL만 제공할 수 있는 모빌리티 사용자에게 이익이 됩니다.

서비스 지역 외 투자자는 스테이킹 형태로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역 내 토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토큰 유동성을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스테이킹 보상을 계속 제공할 계획입니다. 현재는 mvlbridge.io에서 ETH 및 BNB 체인과 같은 다양한 스테이킹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Clutch 지갑을 통해 미니 게임 및 온라인 제품과 같은 다양한 MVL 토큰 사용 사례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Q20: TADA의 성장이 어떻게 MVL 토큰의 성장으로 직결되는지 설명해 주실수 있나요?

James:

처음부터 TADA 출시와 함께 MVL의 성장과 연결되어 있도록 구상되어 왔으며, 서비스 간의 완전한 연결을 위한 준비는 현재 최종 단계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더 많은 국가에서 TADA를 사용하고 일상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었습니다. 이는 어느 정도 달성되었으며 앞으로 계속 확대될 예정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운전자와 승객 모두가 토큰 보상을 쉽게 받을 수 있는 경로가 필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별도의 MVL 블록체인 지갑인 Clutch가 개발되었고, 추가적인 개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TADA를 토큰 결제와 연결해야 합니다. 이 때, 각 국가의 라이드헤일링 라이센스와 암호화폐 규제를 고려하여, 일단은 처음 이용 시 할인 쿠폰 판매부터 시작할 예정입니다.

생활에 꼭 필요한 서비스에서 MVL 토큰을 이용할 때 큰 할인이 제공된다면, MVL 토큰을 구매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게 되어 MVL 가치의 상승과 직접적으로 관련됩니다.

Q21: 어니언의 차량은 어떻게 블록체인과 연결되어 있나요?

James:

어니언 모빌리티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및 배터리로 나뉩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지속적인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실제로 자산 또는 투자 상품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는 차량을 구매하고 운전자에게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교환 가능한 배터리나 충전소도 유사한 자산 상품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NF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모빌리티 자산 상품을 소개하려면 체계적인 차량 관리 및 안정적인 블록체인 지갑과 같은 기본 인프라의 확립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차량과 블록체인을 결합한 새로운 제품을 도입하는 것을 MVL의 다음 단계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728x90

 

 

 

 

 

어제(4월 5일) Celo Foundation Google Cloud 와의 새로운 파트너십 체결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Celo의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프로젝트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Google Cloud 서비스의 조기 채택을 확대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랫동안 cLab(Celo Labs)를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 기업

 

cLabs(Celo Labs)가 선호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인 Google Cloud의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는 2018년부터 Celo Platform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이를 뒷받침해왔습니다. 이 공동 업무의 성공을 기반으로 Google Cloud는 Celo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시작하는 창업자들에게 크레딧을 제공하여 Celo Foundation의 강력한 창업 프로그램에 합류하여 그들이 Google Cloud 및 Firebase를 적극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합니다.

 

"탄소 네거티브인 최초의 지분 증명(PoS) 블록체인 플랫폼인 Celo는 Web3의 'Home of ReFi' 또는 재생 금융으로 알려져 있으며 1,00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실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Celo Foundation의 블록체인 생태계 성장을 책임지고 있는 'Xochitl Cazador'는 "Google Cloud와의 파트너십 체결 소식은 Cel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개발자들과 Web3 관련 창업자들이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뛰어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확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Celo Foundation의 창업자 프로그램 강화

 

또한 Google Cloud의 핵심 팀원들이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Twilio SendGrid, HubSpot 및 Coinbase Cloud에 합류하여 Celo Foundation의 Founders in Residence 프로그램 및 8주 동안 가상의 Celo Camp 액셀러레이터에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합니다.

 

구글 클라우드의 Web3의 전략 책임자인 Richard Widmann은 "Google Cloud는 Web3 에서 차세대 혁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것이 Celo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확장하여 빌더 커뮤니티에 Google Cloud 크레딧 제공 및 관련 지침을 제공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는 이유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그는 "Celo Foundation 및 다른 Web3 스타트업 프로젝트들의 커뮤니티를 만들고 협력하여 다양한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하고 확장 가능하며, 또 지속 가능한 혁신을 일으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Google Cloud의 비전을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지속 가능성 및 혁신에 대한 파트너십

 

Celo Foundation과 Google Cloud는 Web3의 지속 가능성 및 혁신 기술에 관한 워크숍과 이벤트를 공동 주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2020년 지구의 날 메인넷 출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Celo 블록체인 플랫폼에 의해 3,70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였으며 Celo 메인네트워크가 출시된 첫날부터 탄소 네거티브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협력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셀로(Celo) 프로젝트와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의 파트너십 체결에 대한 내용은 또 어떠한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을지 기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엘프(AELF)의 메인넷 업그레이드 일정이 공지되었습니다.

업그레이드 일정 : 한국 시간 4월 6일 17시 ~ 4월 15일 이전

엘프(aelf) 메인넷이 1.3.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가 예정대로 2023년 4월 6일 17:00에 진행될 것이라고 엘프(aelf)의 공식 미디엄에 발표가 되었습니다.

업그레이드는 MainChain에서 약 143556163 블록 높이와 SideChain에서 136482060 블록 높이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으며, 4월 15일 이전에 완료하겠다고 하네요.

다음은 이번 엘프(aelf) 메인넷 v.1.3.0 업그레이드에 대한 세부 정보입니다.


컨트랙트 배포에 승인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컨트랙트는 다음과 같은 경우 BP의 승인 없이 배포될 수 있습니다.

  • 컨트랙트가 엘프의 시스템 컨트랙트와 관련이 없을 경우
  • 컨트랙트 코드가 ACS12 계약의 메서드를 구현하는 경우

멀티토큰 컨트랙트

엘프(aelf) 메인넷의 MultiToken 컨트랙트는 NFT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컨트랙트 버전 확인

  1. 컨트랙트를 처음 배포할 때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한, 해당 버전은 v1.0.0.0으로 설정됩니다.
  2. 컨트랙트가 업그레이드되면 버전 넘버가 확인되어 이전 버전 넘버보다 높은지 확인합니다. 이전 버전 넘버보다 높지 않을 경우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지 않습니다.

BackupSubsidy 수정

거버넌스 보상의 계산 방법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엘프(aelf) 1.3.0 버전이 출시되면 모든 프로덕션 및 전체 노드는 최신 버전 또는 미러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엘프(aelf)의 메인넷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어

현재 빗썸에서는 출금 지원이 15시부터 중단된 상태이며,

업비트에서는 4월 14일 오전 11시부터 중단하여 엘프(aelf) 메인 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 후 안정성을 확인하여 입출금 지원을 재개할 것이라고 합니다.

ELF 코인을 보유하고 계시는 분들은 이 점을 인지하시고 입출금을 하실 경우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입출금의 중단이지 거래가 중단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엘프(aelf)가 메인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이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728x90

안녕하세요, Kimblock입니다.








오늘(3월 31일) 국내 원화 기반 디지털자산거래소 협의체인 닥사(DAXA)들의 협의 끝에 결국 페이코인(PCI)의 거래 지원을 중지(상장 폐지)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16시경 각 거래소의 공지사항에 게시되었습니다.


거래지원 종료일시 : 4월 14일 15시
출금지원 종료일시 : 5월 15일 15시


바로 어제 빗썸이 아모코인(AMO)에 대한 유의지정을 해제한 바 있으나 페이코인은 결과가 달랐습니다.

페이코인의 투자자분들이 계시다면 발빠르게 대처하는 것만이 현재로써는 유일한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페이코인은 국내 닥사 중 업비트와 빗썸, 그리고 코인원에 상장되어있는데요, 세 개의 거래소가 동시에 페이코인의 상장 폐지 내용을 공지하였습니다.








닥사의 입장은 페이코인 재단이 투자유의 지정 기간 동안 닥사 측이 요구한 유의지정 사유에 대해 적합한 소명 절차를 진행하지 않았고, 페이코인이 진행하고 있던 국내 결제 사업이 무기한 중단되었으며, 해외 결제 사업의 성과가 미비하고 사업의 방향성 등이 지속적으로 변동되고 있는 바, 투자자들의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거래 지원을 종료하기로 했다는 것입니다.

사실 16시경 세 개 거래소의 거래 지원 종료 공지가 나오기 전부터 페이코인의 가격은 급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가, 공지 이후에는 하락폭이 더욱 커지면서 현시간 기준으로는 55% 하락한 150원 대에 거래되고 있네요.

이에 대해 페이코인 재단에서 발표한 입장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페이코인 팀입니다.

페이코인의 해외 사업 로드맵과 지갑 사업자로서의 서비스 제공 계획 등 소명에도 불구하고 DAXA는 최초 유의 지정 사유인 급격한 사업적 변동 및 해외 사업 불확실성의 사유로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했습니다. 이미 해외 결제사업 로드맵과 국내 결제사업 모델 변경 및 재 런칭 일정 등을 상세히 소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금번 거래지원 종료 결정은 백서대로 사업 진행을 하지 못하는 많은 거래지원 프로젝트들과 비교하여 심각히 형평성을 잃은 조치로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

글로벌 No.1 가상자산 결제 플랫폼을 천명했던 페이코인 사업은 결코 종료되지 않을 것이며, 이미 밝힌 바와 같이 3분기 내 해외 결제 사업 및 13개 메인넷 지원 지갑서비스 런칭과 은행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확인서 발급 및 가상자산 사업자 재 신고를 거쳐 4분기 내 국내 결제 사업도 재 오픈하는 일정을 차질 없이 준비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해외 대형 거래소 상장도 추진 중에 있어서 향후 해외 사업의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320만 페이코인 고객과 15만 가맹점을 페이코인은 끝까지 보호할 것이며, 글로벌 결제 플랫폼의 성공적인 런칭으로 페이코인의 결제플랫폼이 건재함을 보여드릴 것을 약속드리고, 가상자산 사업자 재 신고 및 이후 페이코인의 국내 거래소 거래지원 원복 등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페이코인 팀 드림.

▼ 페이코인 미디엄 입장문 원문 링크 ▼

[공지] 페이코인 거래지원 종료 결정에 대한 입장문

페이코인의 해외 사업 로드맵과 지갑 사업자로서의 서비스 제공 계획 등 소명에도 불구하고 DAXA는 최초 유의 지정 사유인 급격한 사업적 변동 및 해외 사업 불확실성의 사유로 페이코인의 거래

medium.com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개인적으로는 백서에 적힌대로 올곧게 프로젝트를 운영해나가는 프로젝트는 그리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의 운영 방향이나 불가항력에 의한 사업 내용 변동 등 백서에 적힌 로드맵대로 정확하게 이행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닐거고 그건 우리가 이미 잘 알고있는 대형 프로젝트들도 어려울 뿐더러 플랫폼이나 공식 홈페이지가 폐쇄되고 투자자들과의 소통 창구인 커뮤니티가 전혀 운영되지 않고있는 프로젝트도 너무 많습니다.

그러나 이번 닥사의 결정에 따라 페이코인은 국내 3개 거래소에서 거래지원이 종료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해외 대형 거래소에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페이코인 재단의 노력과 투자자들 및 결제 가맹점들을 보호할 것이라는 입장을 지켜준다면 페이코인의 국내 거래소 상장 원복과 페이코인이 추진하고 있는 국내외 결제사업이 자리잡을 수 있는 결실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페이코인 재단의 입장문을 보고 저는 닥사가 조금 더 기간을 연장해서 페이코인 재단의 소명을 제대로 들어봤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과연 상장 폐지가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수단일까? 아니면 투자자들에게 더 큰 피해를 안겨주는 방법일까? 저는 닥사에게 이런 질문을 해보고 싶네요.








페이코인은 Huobi와 OKX, BitUBU, BKEX 네 개의 해외 거래소에 상장되어있으니 닥사의 거래지원 종료에도 불구하고 페이코인을 보유하고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위 거래소들 중 선택하시어 페이코인을 보유하고 계시거나 개인지갑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홀딩하실 수 있겠네요.



이상으로 페이코인 이슈를 전달드렸습니다.

728x90

솔라나 기반의 NFT 마켓 플레이스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매직에덴'이 비트코인 기반의 NFT '오디널스'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디널스'에 대한 소개와 거래량, 관심도,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점유율, 거래를 지원하는 곳, '매직에덴'의 경쟁사 '오디널스 월렛' 및 참여 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디널스'란?

'오디널스'는 비트코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로, 유일한 소유권을 가진 디지털 자산을 의미합니다. '오디널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각각 고유한 가치와 소유권을 지닌 디지털 아트워크, 게임 아이템, 토큰화된 물품 등을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간별 거래량과 관심도

'오디널스' 시장의 거래량은 최근 몇 년간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로 NFT 시장이 대중화되면서 거래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전 세계 사람들이 '오디널스'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셜 미디어, 뉴스, 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에서 '오디널스' 관련 정보와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점유율

'오디널스'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긴 하지만, NFT 시장의 성장과 함께 점유율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오디널스'의 비중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과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오디널스' 거래 지원 플랫폼

'오디널스' 거래를 지원하는 곳은 다양합니다. NFT 마켓 플레이스인 '매직에덴'은 그 중 하나로, 비트코인 기반의 NFT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OpenSea, Rarible, Nifty Gateway 등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NFT 거래 플랫폼들이 '오디널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매직에덴'

'매직에덴'은 솔라나(Solana)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 마켓 플레이스로, 사용자들이 디지털 아트워크, 가상 아이템, 게임 자산 등의 고유한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솔라나 블록체인은 고성능과 낮은 수수료를 특징으로 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NFT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매직에덴'은 다양한 창작자들과 협력하여 독특하고 희소성이 높은 디지털 아트워크를 출시하며, NFT 콜렉터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안전한 거래 방식을 갖추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손쉽게 NFT 거래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매직에덴'은 커뮤니티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통해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어드랍, 경품 이벤트, 커뮤니티 투표 등을 통해 사용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매직에덴'은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NFT 시장에서 선두주자로서의 위치를 높이고 있으며, 비트코인 기반의 NFT '오디널스' 시장에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매직에덴'은 지속적인 혁신과 서비스 개선을 통해 더욱 다양한 디지털 자산 거래를 지원하면서, NFT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디널스 월렛'

'오디널스 월렛'은 '매직에덴'의 경쟁사로, 비트코인 기반의 NFT 거래를 지원하는 월렛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회사는 사용자들이 손쉽게 '오디널스'를 구매, 판매, 관리할 수 있는 안전한 플랫폼을 제공하며,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정확한 점유율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오디널스 월렛'은 NFT 거래 시장에서 주요 경쟁사 중 하나로 꼽힙니다.

'오디널스'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노력 중인 기업들

'오디널스' 시장의 성장에 따라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NFT 거래 플랫폼, 월렛 서비스, NFT 제작 및 유통, 디지털 아트워크 및 게임 아이템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업들로는 크립토키(CryptoKitties),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 엔진코인(Enjin Coin) 등이 있습니다.

 

솔라나 기반 NFT 마켓 플레이스로 처음 출범한 '매직에덴'은 비트코인 기반의 NFT '오디널스'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고 있으며, 이 시장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오디널스'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고 있고, 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오디널스' 시장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디지털 아트워크, 게임, 가상 자산 등 다양한 영역에서 '오디널스'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뿐만 아니라 새로운 산업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변화가 기대됩니다.

또한, NFT 시장의 성장과 함께 국가 및 규제 기관들은 이러한 새로운 기술에 대한 규제와 법률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규제 환경이 바뀌면서 '오디널스' 및 관련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도전과 기회가 생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매직에덴'과 같은 기업들은 '오디널스'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과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성을 강화하며, 다양한 디지털 자산의 거래를 지원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지막으로, '오디널스' 시장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기술은 금융, 게임, 예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그 중심에 '오디널스'와 같은 NFT 시장이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시장의 흐름과 기술 동향을 꾸준히 주시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Light Towers" 신규 프로젝트 라플입니다.

 

게임을 통해 반딧불이를 25개 이상 획득한 사람은 실버WL를,

 

게임 참여자 중 반딧불이를 가장 많이 획득한 상위 10%는 골드WL를 부여한다고 합니다.

(상위 10%는 진짜.. 미친 것 같습니다 ㅎㅎ)

 

 

단순하고 쉬워보이는 게임이지만

 

저도 직접 플레이해봤는데

 

80개 이상부터 난이도가 확 올라가는 느낌입니다 ㅠㅠ

 

너무 어렵다 싶으시면 25개만 먹고 그만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스트레스 방지...

 

지갑 연결은 꼭 해두셔야 합니다!

 

상위 10% 들어가신분 있으시면 자랑좀 해주세요 ㅎㅎㅎㅎ

 

 

▼ 플레이 영상

 

 

 

 

 

FreeNFT

 

FreeNFT

The world's first home for Free NFTs.

freenft.com

 

Light Towers

 

FreeNFT

Light Towers is a satisfyingly enigmatic, web3 point-and-click puzzle game, built and powered by Ewin Games; a game studio delivering high-quality web3 gaming to the masses. Light Towers will be live to play immediately after mint on Polygon. This Free NFT

freenft.com

 

 게임 링크

 

Light Towers Game

Guide the keeper to fight off darkness in this enigmatic, on-chain, point-and-click puzzle.

lighttowers.io

 

+ Recent posts